1. 문제 2. 풀이 과정 방법 1) arrows를 하나씩 보면서 그 때마다 면이 생기면 count를 했다. 면이 생기는 경우는 크게 두 경우로 나눠볼 수 있다. 1. 이미 지나간 점(vertex)를 또 지나가는 경우 2. 다른 점으로 이동하면서 간선들 간에 교점이 생기는 경우 두 경우는 동시에 발생할 수도 있어서 if를 두 번 사용하여 계산하였다. 여기서 주의해야 할 점은 이미 지나간 간선을 다시 지나가면서 중복 count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 코드에서는 지금 지나가는 간선이 edg에 있는지 확인하는 걸로 중복되지 않도록 했다. def solution(arrows): answer = 0 dxy = [(0, 1), (1, 1), (1, 0), (1, -1), (0, -1), (-1, -1), (-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