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TCP/IP 계층 구조
+) 계층별 캡슐 이름
- TCP = segment
- IP = datagram
- link = frame
2. 계층별 설명
1. Application 계층
- 응용프로그램의 프로토콜을 구성
- socket을 이용하면 아래 계층을 신경쓰지 않고 구현 가능하다.
2. Transport 계층
- TCP/UDP
- port번호 식별
- TCP connection
1) connection setup = 3-way handshaking (연결요청 => 승인 => 승인을 잘 받았다 대답)
2) connection close = 4-way handshaking (종료 요청 => 확인, 남은 거 처리 => 나도 종료 => 알겠다)
- Congestion control : 많은 데이터를 네트워크로 전송해서 각 router가 처리해야하는 용량이 많아짐
- Flow control : 수신측의 수신 buffer가 다 찼을 때 또 전송되면 그 데이터는 버려진다.
3. IP 계층
- Internet Protocol = 경로 관련 프로토콜
- IP 주소 = 논리적 주소
3. LINK 계층
- MAC 주소 = 물리적 주소
3. IP주소와 MAC주소를 이용한 전송 원리
1. LAN과 WAN
- LAN = 스위치를 통해 하나의 내부 네트워크 구성하고, MAC 주소를 통해 데이터 전송
- WAN = LAN과 LAN을 연결시켜주는 라우터들로 구성, IP 주소를 통해 데이터 전송
2. 데이터 전송 과정
1) 스위치가 IP주소를 받고, ARP(Address Resolution Protocol)을 사용하여 LAN 구성원들에게 "이 IP를 사용하는 PC가 누구?"인지 물어본다.
2) 해당 HOST가 자신의 MAC주소를 스위치에게 알려준다.
3) MAC주소를 받은 스위치는 IP주소와 MAC의 맵핑 테이블을 만들고, 데이터를 보낸다.
'CS >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DNS 서버 (0) | 2021.09.22 |
---|---|
Network Layer (0) | 2021.09.22 |
IP주소와 Port 번호 (0) | 2021.09.22 |
OSI 7계층과 Socket Programming (0) | 2021.09.22 |